잘못되거나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우선, 파손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절대 중고 구입을 하지 않는다.
새상품을 구입할때 제조년도를 확인하고 구입하자.
제조사에서 장비를 설계하면서 완벽한 장비는 없고 설계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며, 이유 없이 설계하지 않는다 이를 항상 유의하도록 하자.
퀵드로우 선택에 앞서 간단한 설명
등반 시 일정 지점마다 설치하여 등반자가 땅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
퀵드로우를 사용할 때는 상단과 하단을 항상 구분하고 상단과 하단을 바꾸어서 거는 일이 없도록 하자.
상단에 있는 카라비너의 경우 볼트행어와 체결이 된다. 금속끼리 부딪혀서 카라비너에 크고 작은 상처가 지속적으로 생기게 되는데 이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을 잘못 사용할 경우 자일의 외피에 대미지가 가거나 외피가 벚겨지게 되어 해당 자일은 폐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출시되는 퀵드로우는 상단 하단 색이 다르게 출시되니 사용할때 주의하자.
특별한 이유가 있거나 장기프로젝트로 장비를 수십 개씩 들고 등반하는 경우가 아니면 가급적 경량화 제품은 피하도록 하자. 경량화 제품의 경우 일반 제품과 설계가 다르다.
가벼운 만큼 재료가 적게 쓰이게 되고 그에 맞도록 설계를 하겠지만 일반 제품 대비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퀵드로우를 보게되면
상단은 슬링에 공간이 많이 남아 헐렁하게 되어 있고
하단은 슬링에 공간이 거의 없거나 고무 등을 이용해 잘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있다.
상단 퀵드로우를 볼트와 체결했을 시 흔들리더라도 슬링만 흔들리고 카라비너가 돌아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
하단 퀵드로우에는 자일을 통과시키는데 카라비너가 돌아가서 게이트가 위쪽을 향하게 되거나 자일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
퀵드로우 구입 시 퀵드로우 마다 모양도 다르고 종류도 많아 어떤 걸 구입해야 되는지 찾아보기 힘들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자신에게 맞는 장비를 구입하도록 하자.
퀵드로우는 사용 환경에 따라 많은 형태가 있지만 자주 접하는 제품들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단 와이어형 하단 와이어형
상단 바형 하단 바형
상단 바형 하단 와이어형
상단 와이어형 하단 와이어형
장점
바형에 비해서 가벼운 무게.
충격에 의해 게이트가 잘 열리지 않는다. 절대 열리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충격을 받았을때 바형에 비해서 게이트가 열리는 일이 적다.
단점
퀵드로우 설치 시 고리에 걸려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등반할 수 있다. 이경우 퀵드로우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 추락 시 위험하다.
등반을 끝내고 볼트에서 회수할 때 고리에 걸려 잘빠지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하단 게이트가 직선으로 되어있어 벤트 게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일을 걸기 어렵다
상단 바형 하단 바형
장점
바형과 다르게 상단에 걸리는 게 없어 설치, 회수하기 좋다.
하단은 대부분 벤트 게이트로 되어 있어 자일을 통과시키기 좋다.
단점
게이트가 충격이 갈 경우 와이어형에 비해 열리기 쉽다.
와이어형 대비 무게가 무겁다.
게이트의 스프링 부분에 이물질이 끼여 작동이 안될 수 있다. 사용 전후로 잘 확인하자.
상단 바형 하단 와이어형
와이어형과 바형의 절충안으로 위 두 개 제품의 장점을 합쳤다
상단은 바형게이트 하단은 와이어형 게이트로 제작되었다.
장점
상단 하단 카라비너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바뀌는 일이 거의 없다
상단 와이어형과 다르게 상단에 걸리는 게 없어 설치, 회수하기 좋다.
하단 카라비너가 충격에 의해 게이트가 잘 열리지 않는다.
하단이 와이어로 되어있어 상하단이 모두 바형으로 된 것보다 조금 더 가볍거나 비슷하다. 물론 제품별 회사별로 차이가 있다.
단점
하단 게이트가 직선으로 되어있어 벤트 게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일을 걸기 어렵다.
상단 하단 모두 와이어형 보다 상대적으로 무겁다.
'클라이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경도약대 루트 (0) | 2020.03.18 |
---|---|
클라이밍 슬링 (0) | 2020.03.10 |
(작성중)클라이밍 장비선택시 주의사항 (0) | 2020.03.06 |
블랙다이아몬드 그리드락, ATC가이드 (0) | 2020.02.23 |
블랙다이아몬드 포지트론 스크류게이트 카라비너 잠금비너 (0) | 2020.02.23 |